息1. 기본 정보음(音): 식훈(訓): 쉬다, 숨쉬다부수(部首): 心 (마음 심 → 하단 ㅅ부분) 또는 自 (코 자) 계열로 분류되기도 함총획(總劃): 10획2. 한자의 구성원리와 뜻▣ 구성상단: 自 (코 자)→ 스스로, 숨을 들이마시는 기관하단: 心 또는 𠂉 (쉬는 모양을 나타내는 기호)※ 고문자에서는 ‘鼻(코)’에서 유래한 自가 호흡과 관련됨▣ 해석‘息(식)’은 ‘自(코 자)’와 아래 부분이 결합된 글자로, 코로 숨을 쉬면서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즉, 들숨과 날숨을 통해 몸과 마음을 안정시키는 상태에서 '쉼'이라는 뜻이 자연스럽게 파생된 것입니다.이처럼 ‘息’은 단순한 호흡을 넘어, 육체적·정신적으로 멈추고 회복하는 상태, 곧 ‘쉬다’는 의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息(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