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5/05/21 2

| n번째로 큰 값/작은 값 찾기 – LARGE | SMALL 함수

엑셀에서 숫자 데이터를 분석할 때, 단순히 평균이나 합계를 구하는 것 외에“몇 번째로 큰 값”, “가장 작은 값” 같은 특정 위치의 데이터를 추출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럴 때 사용하는 함수가 바로 LARGE, SMALL 함수입니다.| 2. 함수 구문=LARGE(배열, n) =SMALL(배열, n)배열: 숫자 값들의 범위 (예: A1:A10)n: n번째 큰 값 or 작은 값| 3. LARGE 함수 – 큰 값 순서로 찾기=LARGE(A1:A10, 1)→ 가장 큰 값=LARGE(A1:A10, 2) → 두 번째로 큰 값 예: 성적 데이터에서 1등~3등 점수 추출| 4. SMALL 함수 – 작은 값 순서로 찾기makefile복사편집=SMALL(A1:A10, 1)→ 가장 작은 값=SMALL(A1:A10, 2..

한자공부 - 問 (물을 문)

問1. 기본 정보음(音): 문훈(訓): 묻다, 질문하다, 물어보다부수(部首): 門 (문 문)총획(總劃): 11획2. 한자의 구성원리와 뜻▣ 구성좌측: 門 (문 문)→ 닫힌 문, 통로, 안과 밖을 구분하는 경계우측: 口 (입 구)→ 입, 말을 하거나 묻는 행위의 상징▣ 해석‘問(문)’ 자는 닫힌 문(門) 앞에서 입(口)으로 말을 걸며 안쪽에 있는 것을 묻는 장면을 형상화한 글자입니다.이 구조는 정보가 차단된 상황에서 그것을 열고 알기 위해 질문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단순한 말이 아닌, 모르는 것에 대해 알고자 하는 적극적인 행위, 즉 탐구와 배움의 시작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고대에는 스승이나 윗사람에게 예의를 갖추어 묻는 것을 중요시했기 때문에, '問'은 단지 말로 묻는 것뿐만 아니라 공손하고 진지한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