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일 잘하는 비결/엑셀로 능률 높이기 82

각 셀의 값을 계산식으로 채워 배열을 생성하는 함수 - MAKEARRAY

MAKEARRAY 함수는 지정한 행과 열 크기에 따라 각 셀의 값을 계산식으로 채워 배열을 생성합니다.| 함수 구문=MAKEARRAY(행_수, 열_수, LAMBDA(행, 열, 계산식))인수설명행_수생성할 배열의 행 개수열_수생성할 배열의 열 개수LAMBDA 함수각 셀의 위치(행 번호, 열 번호)에 따라 값을 계산하는 함수 | 예제예제 1. 3행 4열 배열 생성 (값: 행번호+열번호)=MAKEARRAY(3, 4, LAMBDA(r, c, r + c)) 출력: ABCD123452345634567 예제 2. 구구단 표 생성 (2단~10단)=MAKEARRAY(9, 9, LAMBDA(r, c, r * c)) 출력: ABCDEFGHI11234567892246810121416183369121518212427448121..

누적 계산하여 하나의 결과를 만드는 함수 - REDUCE

| 함수 설명범위 또는 배열의 각 항목을 누적 계산하여 하나의 결과를 만들어 주는 함수입니다.각 항목에 대해 반복적으로 계산을 적용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함수 구문=REDUCE(초기값, 배열, 람다)초기값: 누적을 시작할 기본값배열: 반복할 값들의 집합람다: 누적 계산에 사용할 함수 (LAMBDA(누적값, 현재값)) 형태| 예제예제 1. 합계 구하기=REDUCE(0, A2:A6, LAMBDA(a, b, a + b)) A1값2132435465→ A1:A5의 값을 모두 더합니다. (결고값 : 15) 예제 2. 곱하기 계산=REDUCE(1, A2:A6, LAMBDA(a, b, a * b))→ A1:A5의 값을 곱합니다. (결고값 : 120)| 실무 활용 팁복잡한 누적 계산, 필터링 없이도 배열에서 누..

누적된 결과값 배열로 반환 함수 - SCAN

| 함수 설명SCAN 함수는 초기값부터 시작해 배열의 각 요소에 지정한 계산(LAMBDA 함수)을 적용하며, 각 단계의 결과를 모두 반환합니다.REDUCE는 하나의 결과값만 반환하지만, SCAN은 중간 계산 결과 전체를 배열로 반환합니다.| 함수 구문=SCAN([초기값], 배열, LAMBDA(누적값, 현재값))초기값: 계산 시작 전 기본값 (예: 0)배열: 반복 처리할 값의 목록LAMBDA(누적값, 현재값): 누적 로직을 정의하는 람다식| 예제예제 1: 숫자들의 누적합=SCAN(0, A2:A6, LAMBDA(a, b, a + b)) AB1값누적합 결과222335451054146115 → 초기값 0부터 시작하여 누적 합계 배열 생성예제 2: 곱셈 누적=SCAN(1, A2:A5, LAMBDA(a, b, a ..

특정 구분자 기준으로 앞/뒤 텍스트 추출 함수 - TEXTAFTER/TEXTBEFORE

| 함수 설명TEXTAFTER: 구분자를 기준으로 뒤쪽 텍스트를 반환합니다.TEXTBEFORE: 구분자를 기준으로 앞쪽 텍스트를 반환합니다.둘 다 텍스트 분리, 고정 패턴 추출 등 실무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함수 구문=TEXTAFTER(text, delimiter, [instance_num], [match_mode], [match_end], [if_not_found]) =TEXTBEFORE(text, delimiter, [instance_num], [match_mode], [match_end], [if_not_found])text: 분석할 문자열delimiter: 기준이 되는 구분자 (예: ":", ",", " ")instance_num: 몇 번째 구분자를 기준으로 할지 지정 (기본 1)match_mo..

배열을 세로·가로로 합치는 함수 – VSTACK / HSTACK

| 함수 설명VSTACK 함수는 여러 배열을 세로 방향(열 기준) 으로 쌓아서 하나의 배열로 만듭니다.HSTACK 함수는 여러 배열을 가로 방향(행 기준) 으로 나란히 연결합니다.여러 셀 범위나 값들을 하나의 큰 배열로 통합할 때 유용하며, 동적 배열 기능을 활용합니다.| 함수 구문=VSTACK(배열1, [배열2], ...)=HSTACK(배열1, [배열2], ...)배열1, 배열2... : 결합하고자 하는 배열 또는 값입니다.배열의 크기가 다를 경우 자동으로 공백으로 채워 맞춰줍니다.| 예제예제 1. VSTACK 사용 AB1사과배=VSTACK(A1:B1, {"포도", "귤"})→ 결과: CD1사과배2포도귤예제 2. HSTACK 사용 A1사과2배=HSTACK(A1:A2, {"포도"; "귤"})→ 결과: ..

문자열 나누는 함수 - TEXTSPLIT

| 함수 설명TEXTSPLIT 함수는 하나의 셀에 들어 있는 문자열을 구분 기호(예: 쉼표, 공백 등)를 기준으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나누어 배열로 반환하는 함수입니다.엑셀 365에서 지원되며, 데이터를 텍스트로 분리해야 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함수 구문=TEXTSPLIT(텍스트, 열_구분기호, [행_구분기호], [빈 셀 무시 여부], [패딩 값], [대소문자 구분])텍스트: 분할할 문자열열_구분기호: 열 방향으로 나눌 기준 문자열행_구분기호 (선택): 행 방향으로 나눌 기준 문자열빈 셀 무시 여부 (선택): 빈 항목을 무시할지 여부 (TRUE/FALSE)패딩 값 (선택): 결과 배열에서 비어 있는 셀에 채울 값대소문자 구분 (선택): 구분기호를 대소문자 구분할지 여부 (TRUE/FALSE)| ..

숫자 배열을 무작위로 생성하는 함수 – RANDARRAY

| 함수 설명RANDARRAY 함수는 지정된 행과 열의 개수만큼 0 이상 1 미만의 난수를 생성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범위 내에서 무작위 숫자 배열을 생성합니다.엑셀 365에서 새롭게 도입된 동적 배열 함수입니다.| 함수 구문=RANDARRAY([행], [열], [최솟값], [최댓값], [정수여부])인수설명행생성할 난수 배열의 행 수 (생략 시 1)열생성할 난수 배열의 열 수 (생략 시 1)최솟값난수의 최소값 (생략 시 0)최댓값난수의 최대값 (생략 시 1)정수여부TRUE: 정수, FALSE: 소수 (생략 시 FALSE) | 예제예제 1. 기본 무작위 소수 배열 생성=RANDARRAY(3, 2)→ 3행 2열의 0~1 사이 소수값을 생성합니다. AB10.2375770.44636620.8540080.077..

수식에 이름을 붙여 효율적으로 계산하는 함수 – LET

| 함수 설명LET 함수는 수식 안에서 특정 값을 변수처럼 이름을 붙여 저장하고, 이를 반복 사용해 가독성과 성능을 높이는 함수입니다.수식이 복잡하거나 동일 계산이 여러 번 반복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엑셀 365 전용)| 함수 구문LET(이름1, 값1, [이름2, 값2, …], 계산식)이름1, 이름2, … : 정의할 변수 이름 (문자열 아님)값1, 값2, … : 각 변수에 넣을 값 또는 수식계산식 : 정의된 이름(변수)을 이용한 최종 수식| 예제예제 1. 변수로 중복 계산 줄이기=LET(x, A1 + A2, x * 2)→ A1+A2 값을 x로 정의하고, 이를 두 배 한 결과를 반환 (예: A1=5, A2=3이면 16)예제 2. 여러 변수 정의하기=LET(a, A1, b, A2, 합계, a..

숫자 목록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함수 – SEQUENCE

| 함수 설명SEQUENCE 함수는 연속된 숫자의 배열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엑셀 365 전용 함수입니다.행, 열 수와 시작값, 증가값을 지정할 수 있어 반복 숫자 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습니다.| 함수 구문=SEQUENCE(rows, [columns], [start], [step])rows : 생성할 행 수 (필수)columns : 생성할 열 수 (선택, 기본값 1)start : 시작 숫자 (선택, 기본값 1)step : 증가 간격 (선택, 기본값 1)| 예제예제 1. 1부터 5까지 세로로 숫자 생성=SEQUENCE(5)결과 : 1 2 3 4 5예제 2. 1부터 시작해 가로 4열 숫자 생성=SEQUENCE(1, 4)결과 : 1 2 3 4예제 3. 10부터 시작해 2씩 증가하며 3행 2열 생성=SEQUEN..

정렬된 배열 반환 함수 – SORT

| 함수 설명SORT 함수는 엑셀 365 이상 버전에서 사용 가능한 동적 배열 함수로, 지정한 배열 또는 범위를 사용자가 원하는 열 또는 행 기준으로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 정렬된 배열을 반환합니다.정렬된 결과는 새 배열로 출력되며, 원본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습니다.| 함수 구문=SORT(array, [sort_index], [sort_order], [by_col])인수설명array정렬할 대상 범위 또는 배열sort_index정렬 기준 열 또는 행 번호 (기본값은 1)sort_order1은 오름차순, -1은 내림차순 (기본값은 1)by_col열 기준 정렬은 TRUE, 행 기준 정렬은 FALSE (기본값) | 예제예제 1. 기본 오름차순 정렬 AB1이름점수2민수853수진924태호785지윤90=SORT(A..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