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5/05 64

한자공부 - 仕(벼슬 사)

仕1. 기본 정보음(音): 사훈(訓): 벼슬하다, 섬기다, 일하다부수(部首): 亻 (사람 인)총획(總劃): 5획모양자(字形): 亻(사람 인), 士(선비 사)2. 한자의 구성원리와 뜻▣ 구성좌측: 亻(사람 인) – 사람을 나타내는 부수우측: 士(선비 사) – 지식과 도리를 갖춘 선비 또는 벼슬길에 나아가는 사람▣ 해석‘仕(사)’ 자는 사람(亻)과 선비(士)가 결합된 글자입니다.이 글자는 사람(亻)이 선비다운 품성과 자세(士)를 갖추어야만 관직(벼슬)에 올라야,국민을 잘 섬기고, 맡은 일도 성실히 수행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고대 사회에서 ‘士’는 단순한 지식인을 넘어 도덕과 책임감을 갖춘 지도자를 뜻했기 때문에,‘仕’는 단순히 일을 한다는 뜻을 넘어, 사회적 책임과 공공의 봉사를 수행하는 자세를..

심화_복수 조건 정밀 분류 - IFS

1. 기본 구조 복습=IFS(조건1, 결과1, 조건2, 결과2, ..., 조건N, 결과N)TRUE인 조건을 순차적으로 평가하여 첫 번째 조건이 만족되면 결과 반환조건이 중첩 IF보다 훨씬 읽기 쉬움TRUE를 마지막에 조건으로 사용하여 기본값 설정 가능2. 실무 예제 심화 예제 1 – 점수 등급 분류 (정확한 범위 처리) ABC1점수수식결과292=IFS(A2>=90,"A", A2>=80,"B", A2>=70,"C", TRUE,"F")A377=IFS(A3>=90,"A", A3>=80,"B", A3>=70,"C", TRUE,"F")C466=IFS(A4>=90,"A", A4>=80,"B", A4>=70,"C", TRUE,"F")F TRUE 조건을 마지막에 사용하여 기본값(F) 지정중간에 빠지는 조건 없이 우선순..

카테고리 없음 2025.05.30

한자공부 - 傳(전할 전)

傳1. 기본 정보음(音): 전훈(訓): 전하다, 전달하다, 퍼뜨리다부수(部首): 亻 (사람 인)총획(總劃): 13획모양자(字形): 亻(사람 인), 專(오로지 전)2. 한자의 구성원리와 뜻▣ 구성좌측: 亻(사람 인) – 사람을 나타내는 부수우측: 專(오로지 전) – 물레 바퀴 모양에서 유래, 한 방향으로 집중됨▣ 해석‘傳’은 오로지(專) 한 사람(亻)에게 마음을 전해주는 모습을 그린 글자이며,단순히 물리적인 전달을 넘어, 정성, 정보, 감정, 말 등 다양한 내용을 마음을 담아 전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고대 사회에서는 말이나 뜻을 전달하는 것은 신뢰와 책임이 따르는 행위였으며,그러한 맥락에서 ‘傳’은 지금도 말을 전하다, 문화를 잇다, 정보를 퍼뜨리다는 넓은 의미로 활용되고 있습니다.3. 한자의 의미 나열전..

복수 조건 처리 - IFS

IFS 함수는 여러 조건을 차례대로 평가하여 처음으로 TRUE가 되는 조건의 결과값을 반환합니다.복잡한 중첩 IF 함수 없이도 조건 분기를 명확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함수 구문=IFS(조건1, 결과1, 조건2, 결과2, ..., 조건N, 결과N)조건1, 조건2, ...: 판단할 논리 조건결과1, 결과2, ...: 해당 조건이 TRUE일 때 반환할 값| 기본 예제 ABC1점수수식결과295=IFS(A2>=90,"A", A2>=80,"B", A2>=70,"C", A2A376=IFS(A3>=90,"A", A3>=80,"B", A3>=70,"C", A3C → 위에서부터 TRUE가 되는 조건을 만나면 해당 결과를 반환하고 종료합니다.| 실무 예제예제 1 | 업무 등급 판별 ABC1업무량수식결과2120=IFS(..

한자공부 - 停(멈출 정)

停1. 기본 정보음(音): 정훈(訓): 멈추다, 정지하다, 머물다부수(部首): 亻 (사람 인)총획(總劃): 11획모양자(字形): 亻 + 亭2. 한자의 구성원리와 뜻▣ 구성좌측: 亻(사람 인) – 사람을 나타내는 부수우측: 亭(정자 정) – 정자는 사람들이 머물거나 쉬는 장소▣ 해석‘停(정)’ 자는 사람(亻)이 정자(亭)에 머물며 멈추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입니다.예로부터 정자는 길을 걷다가 잠시 쉬는 공간, 즉 움직임을 멈추고 머무는 곳이었기에,이 글자는 사람이 걸음을 멈추고 일정한 곳에 정지하는 모습을 표현합니다.‘停’은 단순한 물리적 정지뿐 아니라, 진행 중인 일을 잠시 멈추거나 일정 상태를 유지하는 의미도 함께 내포합니다.따라서 ‘휴식, 일시 중단, 안정’의 개념까지 포함되어 일상생활과 사회 구조 ..

조건에 따라 값 선택 - SWITCH

SWITCH 함수는 하나의 표현식을 기준으로 여러 값 중 일치하는 경우를 찾아 결과를 반환합니다.복잡한 IF, IFS 대신 더 간결한 구조로 다중 조건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함수 구문=SWITCH(expression, value1, result1, [value2, result2], ..., [default])expression: 비교 기준이 될 값 (숫자, 텍스트 등)valueN: 비교할 값resultN: 해당 값과 일치할 때 반환할 결과default: 일치하는 값이 없을 때 반환할 기본값 (선택 사항)| 기본 예제 ABC1등급코드수식결과2A=SWITCH(A2, "A", "우수", "B", "보통", "C", "미흡", "기타")우수3B=SWITCH(A3, "A", "우수", "B", "보통", "C..

한자공부 - 伸(펼 신)

伸1. 기본 정보음(音): 신훈(訓): 펴다, 뻗다, 나아가다부수(部首): 亻 (사람 인)총획(總劃): 7획모양자(字形): 亻 + 申2. 한자의 구성원리와 뜻▣ 구성좌측: 亻(사람 인) – 사람을 나타내는 부수우측: 申(펼 신) – 번개처럼 곧게 뻗는 모습, 또는 하늘에 말하는 것▣ 해석‘伸(신)’ 자는 사람(亻)이 곧게 펴는 동작(申)을 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입니다.이때 ‘申’은 본래 하늘로 곧게 뻗는 번개 모양에서 유래한 글자로, 쭉 펴다, 곧다, 표현하다는 뜻을 가집니다.따라서 ‘伸’은 사람(亻)이 자신의 몸이나 의지를 곧게 펴서(申) 밖으로 드러내는 모습을 나타내며,신체를 뻗거나 자세를 곧게 펴는 행위뿐 아니라, 의견을 펼치거나 상황을 확장하는 의미까지 포괄합니다.즉, ‘伸’은 사람이 스스로를..

엑셀 근무일 수 계산 - NETWORKDAYS

NETWORKDAYS 함수는 시작일과 종료일 사이에서 주말(토, 일)과 지정된 휴일을 제외하고 실제 근무일 수를 반환합니다.※ WORKDAY는 “며칠 후 날짜”를 구하고, NETWORKDAYS는 “며칠이 걸리는지”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함수 구문=NETWORKDAYS(start_date, end_date, [holidays])start_date: 시작일end_date: 종료일holidays (선택): 제외할 공휴일 목록 (범위 또는 배열)| 기본 예제 ABCD1시작일종료일수식결과22024-06-012024-06-10=NETWORKDAYS(A2, B2)632024-06-012024-06-10=NETWORKDAYS(A3, B3, {2024-06-06})5 → 주말(6/1, 6/2, 6/8, 6/9) 제외 ..

한자공부 - 借(빌 차)

借1. 기본 정보음(音): 차훈(訓): 빌리다, 빌려주다부수(部首): 亻 (사람 인)총획(總劃): 10획모양자(字形): 亻(사람 인) + 昔(예 석)2. 한자의 구성원리와 뜻▣ 구성좌측: 亻(사람 인) – 사람을 나타내는 부수우측: 昔(예 석) – 햇빛 아래 밭의 모습, ‘잠시’, ‘과거’를 상징▣ 해석借(차)’ 자는 사람(亻)과 옛날(昔)이 결합된 글자입니다.이 글자는 단순히 물건을 빌리는 행위를 넘어, **옛날(昔)**부터 오랜 시간 동안 신뢰를 쌓아온 사람(亻)에게서 무언가를 잠시 빌리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입니다.‘昔’은 단순히 과거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흐르며 지속된 관계와 신뢰를 상징합니다.즉, ‘借’은 옛날부터 알고 지낸 믿을 수 있는 사람에게서 돈이나 물건을 빌릴 수 있다는 의미를 ..

근무일 기준으로 날짜 계산 - WORKDAY

WORKDAY 함수는 지정한 시작일로부터 주말(토, 일)과 지정된 휴일을 제외하고, 며칠 후(또는 전)의 날짜를 계산합니다.| 함수 구문=WORKDAY(start_date, days, [holidays])start_date: 시작 날짜days: 며칠 후 또는 며칠 전 (음수 가능)holidays: (선택) 제외할 휴일 목록 (범위 또는 배열)| 기본 예제 ABCD1시작일근무일 수수식결과22024-06-035=WORKDAY(A2, B2)2024-06-1032024-06-03-3=WORKDAY(A3, B3)2024-05-29 → 주말 제외 후 5일 후, 3일 전 날짜 반환| 실무 예제예제 1 | 납기일 계산 (공휴일 포함 제외) ABCDE1시작일근무일 수공휴일수식결과22025-01-02102025-01-0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