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만남 이용권’ 완벽 안내
새 생명을 맞이하는 기쁨은 어떤 말로도 다 표현할 수 없을 만큼 특별하죠.
하지만 아이를 낳고 키운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준비와 비용이 필요한 일이기도 합니다.
산후조리원, 병원비, 예방접종, 분유와 기저귀, 아기 옷과 육아용품까지…
이런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기 위해 정부가 시행하는 지원 제도가 바로 ‘첫만남 이용권’입니다.
오늘은 이 첫만남 이용권이 무엇인지, 누구에게 어떻게 지급되는지, 신청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첫만남 이용권이란?
첫만남 이용권은 출생아를 축하하고 양육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제공하는 출생아 전용 바우처(이용권)**입니다.
출생 아동 1인당 200만 원을 지급하며, 이 금액은 현금이 아니라 국민행복카드에 포인트 형태로 충전되어 사용됩니다.
이는 현금 지원과 달리 아동 양육과 관련된 지정된 항목에만 사용할 수 있는 지원금이기 때문에
꼭 필요한 곳에 쓰일 수 있도록 설계된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모든 신생아
- 부모의 소득, 재산, 직업과 무관하게 지원
- 출생신고 완료된 아동
소득이나 재산 기준 없이 모든 아동에게 지급된다는 점이 정말 반가운 부분입니다.
경제적인 상황과 관계없이 우리 아이가 태어났다면 누구나 받을 수 있어요.
지원 금액과 사용 기간
| 구분 | 내용 |
| 지원 금액 | 출생아 1인당 200만 원 (포인트) |
| 사용 기한 |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
| 사용 방법 | 국민행복카드 포인트로 결제 |
사용기한이 출생 후 1년이라는 점, 꼭 기억해 두세요!
1년이 지나면 미사용 포인트는 자동 소멸되기 때문에
필요한 시기에 미리 계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 가능한 항목
첫만남 이용권은 아래와 같은 출산·양육 관련 지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산후조리원 비용
- 의료기관(병원) 진료비
- 약국에서 구매하는 아동 관련 의약품
- 아기용품 전문점에서의 유아용품(기저귀, 분유, 유아식 등) 구매
- 장난감, 유모차, 아기침대 등 육아 필수품
- 예방접종비, 건강검진 관련 비용
- 온라인 쇼핑몰 중 일부 지정된 가맹점 (국민행복카드 사용처 확인 필수)
※ 일반적인 마트나 백화점, 식당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사용 가능한 가맹점 목록은 국민행복카드 카드사(국민, 삼성, 신한, 농협 등)의 홈페이지나 고객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신청 방법
1. 신청 시기
- 출생신고 후 바로 신청 가능
- 출생일 기준 60일 이내 신청 권장
2. 신청 방법
- 정부24(www.gov.kr) 온라인 신청
- 또는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신청
※ 신청 시 부모의 국민행복카드가 있어야 합니다.
만약 아직 국민행복카드가 없다면, 지정된 카드사(국민, 농협, 삼성, 신한 등)를 통해 신규 발급받아야 합니다.
국민행복카드란?
첫만남 이용권을 사용할 수 있는 카드가 바로 국민행복카드입니다.
이 카드는 임신·출산 진료비, 어린이집 보육료, 유치원 학비 지원 등 다양한 정부 바우처 사업에서 함께 사용됩니다.
카드사는 국민은행, 농협, 삼성, 신한 등에서 선택 가능하며, 한 가족이 여러 정부 지원사업을 동일 카드로 통합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Q&A (자주 묻는 질문)
Q. 첫만남 이용권은 현금으로 받을 수 있나요?
→ 아니요. 현금 지급이 아니라 포인트 형태로 지급됩니다. 국민행복카드에 충전되며 지정된 곳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Q. 부모가 모두 외국인인 경우에도 받을 수 있나요?
→ 기본적으로 출생아가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Q. 첫째와 둘째의 지원금액이 다른가요?
→ 아니요. 첫째, 둘째 구분 없이 모든 출생아에게 동일하게 200만 원이 지급됩니다.
Q. 사용하지 못한 포인트는 어떻게 되나요?
→ 출생 후 1년이 지나면 자동 소멸됩니다. 남은 포인트는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없습니다.
우리 아기와의 첫 만남을 축하하는 정부의 따뜻한 선물, 첫만남 이용권.
육아 초기에 꼭 필요한 지출을 조금이나마 덜어주는 든든한 지원금이 되어줄 거예요.
특히 소득과 재산 제한이 없기 때문에 우리 모두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이랍니다.
혹시 출생신고만 하고 깜빡하셨다면, 정부24 또는 주민센터를 통해 꼭 신청하세요.
사용기한이 1년이므로 미리 계획하고 알뜰하게 활용하면 도움이 크게 될 거예요.
아기의 건강한 성장과 행복한 양육을 응원합니다!
'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가정경제에 보탬이 되는 장려금 지원 꿀팁 (2) | 2025.04.30 |
|---|---|
| 부모의 부담을 덜어주는 따뜻한 지원 (1) | 2025.04.29 |
| 소상공인을 위한 부담경감 크레딧 지원사업 (3) | 2025.04.27 |
| 주거취약계층 주택임대차 중개보수 지원 안내 (2) | 2025.04.26 |
|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사업 총정리 (0)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