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 세계는 현재 전력 수요 증가와 탄소중립이라는 이중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산업 고도화, 전기차 보급, 데이터센터 확산 등으로 전력 소비가 증가하는 반면, 석탄·가스 등 화석연료는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SMR(소형모듈형원전)**은 기존 원전의 한계를 보완하고,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차세대 전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 급변하는 에너지 환경
탄소중립 압박
- 2024년 기준, 약 140개국이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한 상태입니다.
- 국제에너지기구(IEA)는 탄소중립을 위해 원자력 비중 확대가 필요하다고 보고했습니다.
- 태양광과 풍력은 출력이 불규칙하고 저장장치 비용이 높아, 기저부하 전원을 대체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전력 수요 증가
- 글로벌 전력 수요는 매년 약 2~3%씩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데이터센터와 전기차 확산이 주 원인입니다.
- AI 서비스와 고성능 컴퓨팅 확산에 따라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는 2030년까지 전체 소비의 3~4배 증가가 예상됩니다.
2. 기존 원전의 한계와 SMR의 필요성
항목 | 기존 원전 | SMR(소형모듈형원전) |
건설 기간 | 평균 10년 이상 | 약 3~5년 |
입지 조건 | 넓은 부지, 해안 등 제한적 | 산업단지, 내륙 등 다양한 입지 가능 |
초기 투자비 | 수조 원 규모 | 수천억 원대 단위 모듈 설치 가능 |
주민 수용성 | 안전성 우려로 반대 많음 | 수동안전계통 도입 등으로 수용성 개선 중 |
SMR은 이러한 한계를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국제원자력기구(IAEA)도 SMR을 차세대 원전의 중요한 축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3. SMR, 전 세계의 관심을 받는 이유
- 국가별 추진 현황
- 미국: NuScale Power는 2020년 SMR 설계를 최초로 NRC(원자력규제위원회)에서 승인받음
- 한국: i-SMR, SMART 등 독자 기술 개발 중이며, 수출형 모델로 상용화 추진
- 프랑스, 캐나다, 일본: 정부 주도 또는 민간 협력으로 실증 및 상용화 단계 진입
- 확장성과 융합 활용
- 전력 외에도 수소 생산, 산업용 열공급, 지역난방, 해수담수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
- SMR은 단순한 발전 설비를 넘어 멀티 유틸리티 인프라로 기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짐
SMR은 고정밀 산업, 스마트그리드, 분산형 전원 구조 등 미래 에너지 시스템에 적합한 구조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현재 대규모 설비에 의존하는 전력 체계를 유연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모듈 단위로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경제성과 확장성을 갖춘 기술입니다.
728x90
반응형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Ⅳ 세계 주요 국가의 SMR 개발 현황과 한국의 기술 경쟁력 (2) | 2025.06.15 |
---|---|
Ⅲ SMR의 기술 원리와 안전성 – 소형모듈형원전의 구조적 특징 (0) | 2025.06.14 |
이스라엘 vs 이란 긴장 고조.... (3) | 2025.06.13 |
Ⅰ SMR 이란? (1) | 2025.06.12 |
Ⅴ. 스테이블 코인의 미래, 앞으로 어떻게 될까? (3) | 2025.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