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합시다!/일 잘하는 비결, 엑셀로 능률 높이기 36

복수 조건 처리 - IFS

IFS 함수는 여러 조건을 차례대로 평가하여 처음으로 TRUE가 되는 조건의 결과값을 반환합니다.복잡한 중첩 IF 함수 없이도 조건 분기를 명확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함수 구문=IFS(조건1, 결과1, 조건2, 결과2, ..., 조건N, 결과N)조건1, 조건2, ...: 판단할 논리 조건결과1, 결과2, ...: 해당 조건이 TRUE일 때 반환할 값| 기본 예제 ABC1점수수식결과295=IFS(A2>=90,"A", A2>=80,"B", A2>=70,"C", A2A376=IFS(A3>=90,"A", A3>=80,"B", A3>=70,"C", A3C → 위에서부터 TRUE가 되는 조건을 만나면 해당 결과를 반환하고 종료합니다.| 실무 예제예제 1 | 업무 등급 판별 ABC1업무량수식결과2120=IFS(..

조건에 따라 값 선택 - SWITCH

SWITCH 함수는 하나의 표현식을 기준으로 여러 값 중 일치하는 경우를 찾아 결과를 반환합니다.복잡한 IF, IFS 대신 더 간결한 구조로 다중 조건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함수 구문=SWITCH(expression, value1, result1, [value2, result2], ..., [default])expression: 비교 기준이 될 값 (숫자, 텍스트 등)valueN: 비교할 값resultN: 해당 값과 일치할 때 반환할 결과default: 일치하는 값이 없을 때 반환할 기본값 (선택 사항)| 기본 예제 ABC1등급코드수식결과2A=SWITCH(A2, "A", "우수", "B", "보통", "C", "미흡", "기타")우수3B=SWITCH(A3, "A", "우수", "B", "보통", "C..

엑셀 근무일 수 계산 - NETWORKDAYS

NETWORKDAYS 함수는 시작일과 종료일 사이에서 주말(토, 일)과 지정된 휴일을 제외하고 실제 근무일 수를 반환합니다.※ WORKDAY는 “며칠 후 날짜”를 구하고, NETWORKDAYS는 “며칠이 걸리는지”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함수 구문=NETWORKDAYS(start_date, end_date, [holidays])start_date: 시작일end_date: 종료일holidays (선택): 제외할 공휴일 목록 (범위 또는 배열)| 기본 예제 ABCD1시작일종료일수식결과22024-06-012024-06-10=NETWORKDAYS(A2, B2)632024-06-012024-06-10=NETWORKDAYS(A3, B3, {2024-06-06})5 → 주말(6/1, 6/2, 6/8, 6/9) 제외 ..

근무일 기준으로 날짜 계산 - WORKDAY

WORKDAY 함수는 지정한 시작일로부터 주말(토, 일)과 지정된 휴일을 제외하고, 며칠 후(또는 전)의 날짜를 계산합니다.| 함수 구문=WORKDAY(start_date, days, [holidays])start_date: 시작 날짜days: 며칠 후 또는 며칠 전 (음수 가능)holidays: (선택) 제외할 휴일 목록 (범위 또는 배열)| 기본 예제 ABCD1시작일근무일 수수식결과22024-06-035=WORKDAY(A2, B2)2024-06-1032024-06-03-3=WORKDAY(A3, B3)2024-05-29 → 주말 제외 후 5일 후, 3일 전 날짜 반환| 실무 예제예제 1 | 납기일 계산 (공휴일 포함 제외) ABCDE1시작일근무일 수공휴일수식결과22025-01-02102025-01-06..

| 말일 구하는 함수 - EOMONTH

EOMONTH 함수는 지정한 날짜에서 특정 개월 수가 지난 달의 마지막 날을 반환합니다.납기일, 회계마감일, 말일 자동 계산 등에 유용합니다.| 함수 구문=EOMONTH(start_date, months)start_date: 기준 날짜months: 몇 개월 전/후의 말일을 구할지 정함 (음수 가능)| 기본 예제 ABC1일자수식마지막일22024-03-10=EOMONTH(A2, 0)2024-03-3132024-03-10=EOMONTH(A2, 1)2024-04-3042024-03-10=EOMONTH(A2, -1)2024-02-29 → 기준일 기준 해당 월 / 다음 월 / 이전 월의 말일을 반환| 실무 예제예제 1 | 계약 마감일 자동 계산 (3개월 후 말일) ABC1계약일마감일마감일22025-05-10=EOM..

엑셀_EDATE 함수 기준 날짜에서 개월 단위로 계산하기

EDATE 함수는 기준이 되는 날짜에서 지정한 개월 수 전후의 날짜를 반환합니다.납기일 계산, 계약일 조정, 정기 결제일 산정 등에서 자주 쓰입니다.| 함수 구문=EDATE(start_date, months)start_date: 기준 날짜months: 더하거나 뺄 개월 수 (음수 가능)| 기본 예제 ABC1시작일자수식결과22024-01-15=EDATE(A2, 2)2024-03-1532024-01-15=EDATE(A3, -1)2023-12-15 → 기준 날짜에서 개월 수만큼 전후 계산됨| 실무 예제예제 1 | 자동 납기일 계산 ABC1계약일납기수식3개월 후22025-05-10=EDATE(A2, 3)2025-08-1032025-04-01=EDATE(A3, 3)2025-07-0142025-03-20=EDATE..

| 정수 내림 & 소수점 자르기 – INT | TRUNC

| 1. INT 함수 – 무조건 정수로 내림=INT(숫자)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가장 가까운 정수 중 작은 값으로 내림합니다.음수일 경우 **더 작은 수(왼쪽 방향)**으로 내림 처리합니다.예시=INT(5.9) → 5=INT(-5.9) → -6 | 2. TRUNC 함수 – 소수점 이하 자르기 (절삭)=TRUNC(숫자, [자릿수])두 번째 인수([자릿수])를 지정해 자를 소수점 이하 자리수를 정합니다.기본값은 0 → 정수만 남김INT와 달리 음수는 방향 없이 절삭합니다.예시=TRUNC(5.9) → 5=TRUNC(-5.9) → -5=TRUNC(3.14159, 2) → 3.14 | 차이점 요약: INT vs TRUNC항목INTTRINC목적정수로 내림 (작은 값)소수점 자르기 (절삭)음수 처리-5.9 → -6-5..

| 숫자 순위 구하기 – RANK 함수

RANK 함수는 특정 숫자가 지정된 범위 내에서 몇 위인지를 알려주는 함수입니다.기본적으로 큰 수가 높은 순위를 갖지만, 옵션에 따라 오름차순/내림차순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함수 구문=RANK(number, ref, [order])number: 순위를 구할 숫자ref: 비교 대상이 되는 숫자 범위order:생략 또는 0 → 큰 수가 1등 (내림차순)1 → 작은 수가 1등 (오름차순)| 기본 예제 ABCD1이름점수수식순위2철수85=RANK(B2, B2:B6)33민수90=RANK(B3, B2:B6)14은지78=RANK(B4, B2:B6)55수진88=RANK(B5, B2:B6)26지호85=RANK(B6, B2:B6)3 ※ 동점자는 같은 순위로 표시되고, 다음 순위는 건너뜀| 오름차순 정렬 예제 (낙제자 순..

| n번째로 큰 값/작은 값 찾기 – LARGE | SMALL 함수

엑셀에서 숫자 데이터를 분석할 때, 단순히 평균이나 합계를 구하는 것 외에“몇 번째로 큰 값”, “가장 작은 값” 같은 특정 위치의 데이터를 추출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럴 때 사용하는 함수가 바로 LARGE, SMALL 함수입니다.| 2. 함수 구문=LARGE(배열, n) =SMALL(배열, n)배열: 숫자 값들의 범위 (예: A1:A10)n: n번째 큰 값 or 작은 값| 3. LARGE 함수 – 큰 값 순서로 찾기=LARGE(A1:A10, 1)→ 가장 큰 값=LARGE(A1:A10, 2) → 두 번째로 큰 값 예: 성적 데이터에서 1등~3등 점수 추출| 4. SMALL 함수 – 작은 값 순서로 찾기makefile복사편집=SMALL(A1:A10, 1)→ 가장 작은 값=SMALL(A1:A10, 2..

| 무작위 숫자 생성 함수 – RAND | RANDBETWEEN

1. RAND 함수 – 0 이상 1 미만의 실수 반환=RAND()결과는 항상 0 이상, 1 미만의 소수새로 고침될 때마다 값이 변경됨예시=RAND() → 0.7835 (실행 시마다 달라짐) 2. RANDBETWEEN 함수 – 지정 범위 내의 정수 반환=RANDBETWEEN(하한값, 상한값)하한값과 상한값 사이의 정수 중 무작위 선택RAND보다 실무에서 더 많이 사용됨예시=RANDBETWEEN(1, 10) → 3=RANDBETWEEN(1000, 9999) → 8231 | 실무 예제예제 1 | 무작위 1~45 숫자 (로또 추첨)=RANDBETWEEN(1, 45)→ 여러 셀에 적용하면 로또 번호처럼 활용 가능예제 2 | 0~1 사이의 확률값 생성=RAND()→ 확률 계산, 시뮬레이션 모델, 난수 분포용예제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