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에서 날짜나 시간을 입력할 때, 매번 손으로 적는 것보다
자동으로 오늘 날짜가 입력되면 얼마나 편리할까요?
심지어 문서를 열 때마다 오늘 날짜가 자동 업데이트된다면
보고서 작성, 출근기록, 마감일 계산 등에 엄청난 도움이 됩니다.
그럴 때 사용하는 함수가 바로 TODAY와 NOW입니다.
오늘은 이 두 함수를 중심으로 날짜·시간을 편리하게 다루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 TODAY 함수란?
TODAY 함수는 현재 날짜만 표시해주는 함수입니다.
엑셀을 열면 그날의 날짜가 자동으로 표시되며,
입력 후에는 날짜가 고정되지 않고 계속 업데이트됩니다.
사용법:
=TODAY()
괄호 안에 아무 값도 넣지 않으며,
함수를 쓰는 순간의 날짜가 입력됩니다.
예: 2025-04-30
| NOW 함수란?
NOW 함수는 현재 날짜 + 시간을 함께 표시해주는 함수입니다.
TODAY 함수보다 한 단계 더 정밀한 시간 정보가 필요한 경우 사용됩니다.
사용법:
=NOW()
예: 2025-04-30 오전 9:32
(엑셀의 셀 서식에 따라 시간 형식은 다르게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예제 1 : 오늘 날짜 자동 입력하기
A | B | |
1 | 보고일자 | =TODAY() |
2 | 마감일 | 2025-05-10 |
이 경우 A1 셀은 문서를 열 때마다 오늘 날짜로 자동 업데이트됩니다.
| 예제 2 : 현재 시간 표시하기
A | B | |
1 | 기록 시각 | =NOW() |
문서를 여는 시점에 A1 셀에는 현재 시간까지 포함된
값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예: 2025-04-30 오전 10:15)
| 예제 3 : D-DAY 계산
A | B | |
1 | 오늘 날짜 | =TODAY() |
2 | 마감일 | 2025-05-10 |
3 | 남은 일수 | =B2-A1 |
TODAY 함수를 사용해 오늘과 마감일 사이의 남은 일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 =B2-A1
| 예제 4 : 근무 일수 자동 계산
A | B | C | |
1 | 이름 | 입사일 | 근무일수 |
2 | 김지훈 | 2023-12-01 | =TODAY()-B2 |
입사일 기준으로 현재까지 근무일수를 자동으로 계산합니다.
날짜끼리의 뺄셈 결과는 일(day) 단위로 반환됩니다.
| 예제 5 : 실시간 기록 템플릿 만들기
A | B | |
1 | 입력 시간 | =NOW() |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입력한 시간 기록을 자동 표시하고 싶을 경우,
NOW 함수를 활용하면 매크로 없이도 타임스탬프처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식은 항상 현재 시간 기준으로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고정값으로 저장하고 싶다면 복사 후 "값 붙여넣기" 해야 합니다.
| 자주 쓰이는 활용 상황
- 오늘 날짜 자동 입력
- 보고서 작성일 자동 표시
- 문서 버전 날짜 관리
- 계약 남은 기간 계산
- 생일, 기념일 카운트다운
- 실시간 근무 기록
- 재고 입고일 기준 자동 계산
| 함께 알면 좋은 함수 및 기능
함수 | 기능설명 |
DATEDIF | 날짜 간격(일, 월, 년) 계산 |
TEXT(TODAY(), "yyyy-mm") | 날짜 형식 변환 및 지정 출력 |
셀 서식 → 날짜/시간 | 원하는 형식으로 표시하기 |
특히 TEXT 함수와 TODAY 함수를 조합하면
"2025년 4월"처럼 문장 형태로 날짜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 참고하면 좋은 팁
- 날짜는 엑셀 내부적으로는 **숫자(일 수)**로 저장됩니다.
예: 2025-04-30 → 45214
그래서 날짜끼리 더하거나 빼는 것이 가능합니다. - TODAY, NOW는 문서가 열릴 때마다 갱신되므로
시간이 고정돼야 하는 상황에는 "값 붙여넣기"로 처리해야 합니다. - 자동 갱신이 부담스러울 경우
날짜를 고정시켜두고 수동 입력하는 것도 고려하세요.
'공부 합시다! > 일 잘하는 비결, 엑셀로 능률 높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_VLOOKUP 함수로 원하는 값 찾기 (0) | 2025.05.02 |
---|---|
엑셀_IFERROR 함수로 오류 처리 깔끔하게 하기 (0) | 2025.05.01 |
엑셀_ROUND, ROUNDUP, ROUNDDOWN 함수로 반올림·올림·내림 하기 (1) | 2025.04.29 |
엑셀_IF 함수로 조건에 따라 결과 구하기 (0) | 2025.04.28 |
엑셀_MAX, MIN 함수로 최대값과 최소값 구하기 (0)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