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259

한자공부 - 左(왼 좌)

1. 기본 정보음(音): 좌훈(訓): 왼쪽부수(部首): 工(장인 공)총획(總劃): 5획모양자(字形): 工(장인 공), 𠂇(왼 좌)2. 한자의 구성원리와 뜻▣ 구성工(장인 공): 도구, 일, 장인을 의미.𠂇(왼 좌): 기준에서 왼쪽으로 삐침, 왼쪽을 의미함.▣ 해석‘左’ 자는 장인이 오른손에 도구를 들고 열심히 일하고 있으면, 왼쪽에서 보조해야 하므로 ‘왼쪽’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된 글자입니다. 그래서 본래는 장인이 손과 도구로 일하는 모습에서 출발했지만, 점차 공간적 개념으로 발전하여 방향을 나타내게 되었고, 상징적으로는 곁에서 돕거나 보좌한다는 뜻도 파생되었습니다. 또한 왼손은 오른손을 보조하는 의미이므로 오른손보다 못하다는 의미로 부정적인 뜻으로 발전되어, 옳지 못하다·그르치다라는 의미도 가지게 ..

한자공부 - 右(오른쪽 우)

1. 기본 정보음(音): 우훈(訓): 오른쪽부수(部首): 口(입 구)총획(總劃): 5획모양자(字形): 口(입 구), 𠂇(왼 좌)2. 한자의 구성원리와 뜻▣ 구성口(입 구): 입, 말하는 것을 상징.𠂇(왼 좌): 기준에서 왼쪽으로 삐침, 왼쪽을 의미함.▣ 해석‘右’ 자는 왼손(𠂇)의 오른쪽에 입(口)이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입니다. 사람이 왼손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입이 오른쪽에 위치하므로 ‘오른쪽’을 뜻하게 되었습니다. 고대에는 오른손을 주로 사용하였고, 제사를 올리거나 음식을 바치는 등 신성한 행위를 했기 때문에 ‘숭상하다’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했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러한 의미는 확장되어 ‘옳다’라는 뜻까지 가지게 되었으며, 또한 방향을 가리키는 글자로도 사용됩니다.3. 한자의 의미 나열오른..

한자공부 - 下(아래 하)

1. 기본 정보음(音): 하훈(訓): 아래, 내리다부수(部首): 一(한 일)총획(總劃): 3획모양자(字形): 下(아래 하)2. 한자의 구성원리와 뜻▣ 구성下(아래 하): 본자(本字)로, 땅(선) 아래쪽을 가리키는 모습을 나타냄.▣ 해석‘下’ 자는 땅을 의미하는 선 아래쪽을 가리킨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입니다. 본래는 물리적으로 아래, 낮은 곳을 뜻했으나 점차 지위가 낮은 상태, 겸손, 내려가는 동작 등을 나타내는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하위(下位)’는 아래쪽 자리, 낮은 지위를 뜻하고, ‘하락(下落)’은 떨어져 내려감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下’는 단순히 방향만을 뜻하는 글자가 아니라, 위치·지위·가치가 낮음을 아우르는 중요한 한자입니다.3. 한자의 의미 나열아래, 아랫부분내리다, 떨어지다낮다..

한자공부 - 上(윗 상)

1. 기본 정보음(音): 상훈(訓): 위, 오르다부수(部首): 一(한 일)총획(總劃): 3획모양자(字形): 上(윗 상)2. 한자의 구성원리와 뜻▣ 구성上(윗 상): 본자(本字)로, 땅(선) 위쪽을 가리키는 모습을 나타냄.▣ 해석‘上’ 자는 땅을 의미하는 선 위로 솟아 위쪽을 가리킨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입니다. 본래는 물리적으로 위, 높은 곳을 뜻했으나 점차 사회적 지위, 우열의 관계, 가치의 높음 등을 나타내는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상위(上位)’는 위쪽 자리, 높은 지위를 뜻하고, ‘상승(上昇)’은 위로 오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上’은 단순히 방향만을 나타내는 글자가 아니라, 위치·지위·가치가 높은 상태를 아우르는 중요한 한자입니다.3. 한자의 의미 나열위, 윗부분오르다, 올라가다높다,..

한자공부 - 不(아닐 불)

1. 기본 정보음(音): 불(부)훈(訓): 아니다, 않다부수(部首): 一(한 일)총획(總劃): 4획모양자(字形): 不 (본자)2. 한자의 구성원리와 뜻▣ 구성不(본자): 싹이 땅을 뚫고 나오지 못하는 모습을 형상화.▣ 해석‘不’ 자는 새싹이 흙을 뚫고 나오지 못하는 모습을 본뜬 글자입니다. 본래는 식물이 피어나지 못하는 상황을 표현했으나, 여기서 발전하여 ‘아니다’, ‘하지 않는다’라는 부정의 뜻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후 동사나 형용사 앞에 붙어 그 의미를 부정하거나 결여를 나타내는 중요한 한자로 자리잡았습니다. 철학적으로는 ‘있음(有)’과 대비되는 ‘없음’의 개념을 나타내며, 동양 사상에서 존재와 부정의 이치를 설명하는 데 널리 활용되었습니다.3. 한자의 의미 나열아니다, 부정하다하지 않다, 않다결여..

한자공부 - 方(모 방)

1. 기본 정보음(音): 방훈(訓): 모, 방향, 방법부수(部首): 方(모 방)총획(總劃): 4획모양자(字形): 方(모 방)2. 한자의 구성원리와 뜻▣ 구성方(모 방): 본자(本字)로, 쟁기를 형상화.▣ 해석‘方’ 자는 쟁기를 형상화한 글자로, 소가 쟁기를 끌고 갈 때 손잡이로 방향을 잘 잡아야 반듯하게 밭을 갈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또한 쟁기라는 도구의 사용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어야 밭을 곧고 바르게 갈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여기서 ‘방향’과 ‘방법’의 뜻이 파생되었으며, 이후에는 사방을 가리키거나 규범과 법칙을 뜻하는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따라서 ‘方’은 도구 사용의 원리에서 출발하여 방향과 방법을 아우르는 중요한 글자입니다.3. 한자의 의미 나열모양, 네모방향, 방위방법, 규범..

한자공부 - 名(이름 명)

1. 기본 정보음(音): 명훈(訓): 이름부수(部首): 口(입 구)총획(總劃): 6획모양자(字形): 夕(저녁 석), 口(입 구)2. 한자의 구성원리와 뜻▣ 구성夕(저녁 석): 저녁, 해질 무렵을 의미.口(입 구): 입, 말하다를 상징.▣ 해석‘名’ 자는 저녁(夕)에 사람을 입(口)으로 불러 식별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입니다. 저녁은 어두워서 서로 얼굴을 알아보기 어려운 시간대이므로, 이름을 불러 구분했다는 데서 ‘이름’이라는 뜻이 생겼습니다. 이후 개인을 식별하는 표지로서의 이름, 명성, 호칭 등으로 의미가 확장되었습니다. 또한 사회적 신분과 명예, 명성을 나타내는 한자로도 사용됩니다.3. 한자의 의미 나열이름, 호칭명성, 평판신분, 명예4. 활용 예시단어뜻서명(署名)자기(自己)의 이름을 써넣음. 또는..

한자공부 - 物(만물 물)

1. 기본 정보음(音): 물훈(訓): 만물, 물건부수(部首): 牛(소 우)총획(總劃): 8획모양자(字形): 牛(소 우), 勿(말 물)2. 한자의 구성원리와 뜻▣ 구성牛(소 우): 가축, 소를 의미.勿(말 물): 칼을 형상화한 것으로, 칼로 위협하여 하지 말게 하다라는 의미를 가짐.▣ 해석‘物’ 자는 소(牛)와 勿이 결합하여 세상의 만물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소는 농경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재산으로, 고기와 가죽 같은 물건을 제공하기 위해 칼로 도축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소와 도구(칼)를 이용하여 수레를 끌어 물건을 옮기고, 밭을 갈며 다양한 일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여러 물건과 재화를 만들어내는 기반이 되었기에 ‘物’은 단순한 사물이나 물건을 넘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 즉 만물..

한자공부 - 每(매양 매)

1. 기본 정보음(音): 매훈(訓): 매양, 늘, 언제나부수(部首): 毋(말 무)총획(總劃): 6획모양자(字形): 母(어미 모), 𠂉(-)2. 한자의 구성원리와 뜻▣ 구성母(어미 모): 어머니, 여성을 의미.𠂉(-): 꼬쟁이 같은 도구나 덮개를 상징.▣ 해석‘每’ 자는 엄마가 머리를 묶고 열심히 일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입니다. 본래는 ‘어머니’의 의미로 쓰였으나, 늘 자식을 돌보고 끊임없이 일하는 어머니의 모습에서 ‘항상’, ‘매번’, ‘모든’이라는 뜻이 확장되었습니다. 이렇게 반복과 지속을 상징하여 오늘날에는 ‘매일(每日)’, ‘매번(每番)’처럼 시간이나 상황이 반복되는 의미로 널리 활용됩니다.3. 한자의 의미 나열매양, 늘, 언제나매번, 항상모든, 각각4. 활용 예시단어뜻매사(每事)하나하나의 ..

한자공부 - 立(설 립)

1. 기본 정보음(音): 립(입)훈(訓): 서다, 세우다부수(部首): 立(설 립)총획(總劃): 5획모양자(字形): 立(설 립)2. 한자의 구성원리와 뜻▣ 구성立(설 립): 본자(本字)로, 사람이 두 발로 서 있는 모습을 본뜸.▣ 해석‘立’ 자는 사람이 두 팔 벌려서 서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입니다.을 형상화한 글자입니다. 본래는 ‘서다’라는 동작을 나타내지만, 이후 ‘세우다’, ‘일어나다’, ‘존립하다’와 같은 확장된 의미를 지니게 되었습니다. 또한 사회적·도덕적으로는 독립, 자립과 같은 정신적 의미로도 쓰이며, 국가와 조직의 성립을 뜻하는 중요한 한자로 발전했습니다. 따라서 ‘立’은 단순히 서는 행위에서 출발했지만, 존재의 확립과 독립, 성장의 상징으로 자리잡았습니다.3. 한자의 의미 나열서다, 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