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잘하는 비결/엑셀로 능률 높이기
| 정수 내림 & 소수점 자르기 – INT | TRUNC
라리홈
2025. 5. 23. 21:19

| 1. INT 함수 – 무조건 정수로 내림
=INT(숫자)
-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가장 가까운 정수 중 작은 값으로 내림합니다.
- 음수일 경우 **더 작은 수(왼쪽 방향)**으로 내림 처리합니다.
| 예시 |
| =INT(5.9) → 5 |
| =INT(-5.9) → -6 |
| 2. TRUNC 함수 – 소수점 이하 자르기 (절삭)
=TRUNC(숫자, [자릿수])
- 두 번째 인수([자릿수])를 지정해 자를 소수점 이하 자리수를 정합니다.
- 기본값은 0 → 정수만 남김
- INT와 달리 음수는 방향 없이 절삭합니다.
| 예시 |
| =TRUNC(5.9) → 5 |
| =TRUNC(-5.9) → -5 |
| =TRUNC(3.14159, 2) → 3.14 |
| 차이점 요약: INT vs TRUNC
| 항목 | INT | TRINC |
| 목적 | 정수로 내림 (작은 값) | 소수점 자르기 (절삭) |
| 음수 처리 | -5.9 → -6 | -5.9 → -5 |
| 자릿수 지정 | 불가능 | 가능 |
| 실무 예제
예제 1 | 금액을 1,000원 단위로 내림 처리
=INT(A1 / 1000) * 1000
→ 예: 12,800 → 12,000 예제 2 |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만 자르기
=TRUNC(A1, 1)
→ 예: 3.67 → 3.6 예제 3 | 마이너스 값 처리 비교
| A | B | |
| 1 | =INT(-3.2) | -4 |
| 2 | =TRUNC(-3.2) | -3 |
| 함께 쓰면 좋은 함수
| 함수 | 설명 |
| ROUND | 반올림 |
| ROUNDDOWN | 소수점 기준 내림 |
| MOD | 나머지 계산 |
| IF | 특정 조건 충족 시 절삭 적용 |
| TEXT | 절삭 후 표시형식 적용 가능 |
| 실무 활용 팁
- 단가 내림: 단위가 100원 단위일 때 TRUNC(값, -2)
- 시간 절삭: 시간 계산에서 초나 분을 절삭할 때
- 세금 계산: 소수점 이하 절사 처리 시 사용
- 데이터 정리: 소수점 일괄 제거해 정렬된 데이터 구성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