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잘하는 비결/엑셀로 능률 높이기
| 날짜 계산부터 오늘 날짜 자동 입력까지
라리홈
2025. 5. 9. 21:49
반응형
엑셀에서는 날짜 관련 계산을 자동화하기 위한 다양한 함수를 제공합니다.
특히 보고서, 일정표, 출석부, 급여 계산표 등을 만들 때 날짜 계산은 필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날짜 관련 핵심 함수인 TODAY, NOW, DATE, EDATE, EOMONTH, DATEDIF, YEAR, MONTH, DAY 함수까지 총정리해보겠습니다.
| 1. TODAY 함수 – 오늘 날짜 표시
=TODAY()
→ 현재 날짜를 표시합니다.
문서를 열 때마다 자동으로 갱신되며,
D-Day 계산이나 보고일 표시 등에 자주 사용됩니다.
| 예: |
A | B | C | |
1 | 시작일 | 마감일 | 남은일 |
2 | 2024-04-01 | 2024-05-10 | =B2-TODAY() |
| 2. NOW 함수 – 현재 날짜+시간 표시
=NOW()
→ 현재 날짜와 시간까지 함께 표시됩니다.
문서 작성 시각이나 기록 시간 자동화에 사용합니다.
| 3. DATE 함수 – 날짜 구성하기
=DATE(2025, 5, 8)
→ 연, 월, 일을 직접 입력하여 날짜를 생성합니다.
숫자를 조합해 날짜를 만들 때 매우 유용합니다.
| 4. YEAR, MONTH, DAY – 날짜 분해하기
함수 | 기능 |
=YEAR(A1) | 연도 추출 (예: 2025) |
=MONTH(A1) | 월 추출 (예: 5) |
=DAY(A1) | 일 추출 (예: 8) |
예: 2025-05-08 → 연도: 2025, 월: 5, 일: 8
| 5. DATEDIF – 날짜 차이 계산
=DATEDIF(시작일, 종료일, 단위)
단위설명
단위 | 설명 |
"Y" | 연 차이 (만 나이 계산 등) |
"M" | 개월 차이 |
"D" | 일 수 차이 |
예: =DATEDIF("2023-01-01", TODAY(), "Y") → 근속 연수
| 6. EDATE – 몇 개월 전/후 날짜 구하기
=EDATE(날짜, 개월수)
→ 기준 날짜에서 N개월 전/후의 날짜를 계산합니다.
예: =EDATE("2024-05-01", -1) → 2024-04-01
예: =EDATE(TODAY(), 3) → 3개월 뒤
| 7. EOMONTH – 해당 월의 말일 구하기
=EOMONTH(날짜, 개월수)
→ 기준 날짜에서 특정 개월 뒤의 **말일(끝날)**을 구합니다.
예: =EOMONTH("2024-03-15", 0) → 2024-03-31
예: =EOMONTH(TODAY(), 1) → 다음 달 말일
| 8. WEEKDAY – 요일 계산
=WEEKDAY(날짜, [형식])
- 형식 1: 일요일(1) ~ 토요일(7)
- 형식 2: 월요일(1) ~ 일요일(7)
예: =WEEKDAY("2024-05-08") → 4 (수요일)
| 실무 활용 예시
활용 목적 | 추천 함수 |
오늘 날짜 자동 입력 | TODAY() |
현재 시간 표시 | NOW() |
특정 날짜 구성 | DATE() |
날짜 차이 계산 | DATEDIF(), B2-A2 |
연,월,일 분리 추출 | YEAR(), MONTH(), DAY() |
기준일 기준 개월 이동 | EDATE(), EOMONTH() |
요일 자동 표기 | WEEKDAY() + CHOOSE() 등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