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잘하는 비결/엑셀로 능률 높이기
| 엑셀 DATEDIF 함수로 날짜 차이 계산하기
라리홈
2025. 5. 10. 21:07

엑셀에는 다양한 날짜 관련 함수들이 있지만,
정확한 날짜 차이를 ‘일수, 개월 수, 연수’ 단위로 계산할 수 있는 함수는 DATEDIF 하나뿐입니다.
이 함수는 Excel의 숨겨진 함수 중 하나로, 입력 도중 자동완성 도움말이 표시되지 않지만
정확하고 강력한 날짜 계산 기능을 제공합니다.
| DATEDIF 함수란?
DATEDIF 함수는 두 날짜 사이의 차이를 원하는 단위로 계산하는 함수입니다.
결과는 숫자(정수)로 반환됩니다.
| 사용법 |
=DATEDIF(시작일, 종료일, 단위)
- 시작일: 비교를 시작할 날짜
- 종료일: 비교를 끝낼 날짜
- 단위: 차이를 계산할 기준 (예: "Y", "M", "D")
| 단위 종류와 의미
단위 | 의미 |
"Y" | 두 날짜 간 년수 차이 (생일, 근속 연수 등) |
"M" | 전체 개월 수 차이 |
"D" | 전체 일 수 차이 |
"MD" | 개월 수와 년수를 무시한 일(day)만의 차이 |
"YM" | 년수와 일을 무시한 개월(month)만의 차이 |
"YD" | 년수를 무시한 일 수 차이 (윤년 고려 안함) |
| 예제 1: 두 날짜 간의 일 수 구하기
A | B | C | |
1 | 시작일 | 종료일 | 경과 일 수 |
2 | 2024-01-01 | 2024-05-01 | =DATEDIF(A2,B2,"D") → 121 |
| 예제 2: 근속 연수 구하기
A | B | C | |
1 | 입사일 | 오늘 날짜 | 근속연수 |
2 | 2020-01-01 | =NOW() | =DATEDIF(A2,B2,"Y") |
B열에 =TODAY() 함수를 써서 자동으로 현재 날짜를 계산하면
현재 기준 근속 연수를 자동으로 알 수 있습니다.
| 예제 3: 생일 기준 만 나이 구하기
=DATEDIF(생년월일, TODAY(), "Y")
예: =DATEDIF(DATE(2000,4,1), TODAY(), "Y") → 만 나이 계산
| 예제 4: 두 날짜의 개월 수만 계산
=DATEDIF(A2,B2,"M")
→ 예: 2024-01-15 ~ 2024-05-01 → 결과: 3 (완전한 개월 수)
| 예제 5: 생일 디데이(D-Day) 계산
A | B | C | |
1 | 생일 | 오늘날짜 | 남은일수 |
2 | 2025-10-10 | =TODAY() | =DATEDIF(TODAY(), A2, "D") |
| 예제 6: 년, 개월, 일 각각 나눠 표시하기
A | B | C | |
1 | 입사일 | 오늘 날짜 | 근속연수 |
2 | 2020-01-01 | 2025-05-08 | 5년 4개월 7일 |
=DATEDIF(A2,B2,"Y") & "년 " & DATEDIF(A2,B2,"YM") & "개월 " & DATEDIF(A2,B2,"MD") & "일"
→ 결과: 예) “5년 4개월 7일”
| 주의사항
- DATEDIF는 함수 자동 완성 도움말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 종료일이 시작일보다 앞설 경우 오류가 발생합니다.
→ IF(A2>B2, "", DATEDIF(A2,B2,"D"))와 같이 방어 수식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실무 활용 예시
- 고객 가입일 기준으로 서비스 기간 표시
- 프로젝트 시작일과 마감일 간 일정 계산
- 직원 근속 연수 표시
- 생일로 만 나이 자동 계산
- 보험가입 기간 산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