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이야기
                
              Ⅱ. 스테이블 코인의 종류와 특징
                라리홈
                 2025. 6. 10. 07:37
              
              
            
            1. 법정화폐 담보형 (Fiat-collateralized Stablecoin)
- 특징
- 달러, 유로, 원화 등 실제 돈(법정화폐)을 은행에 예치해두고 그만큼 코인을 발행
 - 1코인 = 1달러(혹은 1원, 1유로 등)로 가치가 거의 항상 유지됨
 - 가장 안정적이지만, 은행 등 중앙기관의 신뢰가 필요함
 
 - 대표 코인
- USDT(테더), USDC, BUSD, TUSD 등
 
 
2. 암호화폐 담보형 (Crypto-collateralized Stablecoin)
- 특징
- 비트코인, 이더리움 같은 암호화폐를 담보로 예치하고 그 가치에 맞게 코인을 발행
 - 암호화폐 가격이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더 많은 담보(초과담보)를 잡아둠
 - 시스템이 투명하며, 중앙기관에 의존하지 않음(탈중앙화)
 - 담보 가치가 급락하면 청산될 수 있음
 
 - 대표 코인
- DAI, sUSD 등
 
 
3. 알고리즘형 (Algorithmic Stablecoin)
- 특징
- 실제 돈이나 암호화폐를 담보로 잡지 않음
 - 가격이 오르면 코인 수를 늘리고, 떨어지면 줄이는 식으로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1달러 가치를 맞춤
 - 중앙화된 담보가 없어서 혁신적이지만, 시스템이 불안정할 수 있음
 - 실패 사례도 존재 (대표적으로 ‘테라(UST)’)
 
 - 대표 코인
- (과거) UST, AMPL 등
 
 
한눈에 정리
| 종류 | 담보 방식 | 장점 | 단점 | 대표 코인 | 
| 법정화폐 담보형 | 실제 돈 | 안정성 높음 | 중앙화, 신뢰 필요 | USDT, USDC | 
| 암호화폐 담보형 | 암호화폐 | 투명, 탈중앙화 | 담보 초과 필요 | DAI | 
| 알고리즘형 | 담보 없음 | 분산·혁신적 | 시스템 불안정 | UST(과거) | 
728x90
    
    
  반응형